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2.03.-10.)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11
조회수
10

(정보제공 : 주폴란드대사관)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2.03.-10.)



가. [원전 건설] 투스크 총리, 제2 원전 건설 유보적 발언


  ㅇ 투스크(D. Tusk) 총리는 제2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으며, 동 원전이 폴란드에 경제적 이익이 있다고 확신이 들 때(when I know for 100% that it is profitable for Poland) 건설 결정을 내릴 것이라 함.


   - 그럼에도 제2 원전 건설이라는 선택지가 배제되지 않을 것이며, 제2 원전 건설 부지는 원전 건설에 참여하여 자금을 공동 조달할 파트너를 알게 되면 결정할 것이라 부언


  ㅇ 그 외 투스크 총리는 제1 원전 건설 사업*, 소형모듈형원자로 건설 사업** 등에 대해 발언함.


     * 전 정부에서 특정 업체를 선정된 뒤, 현 정부가 가격과 비용을 협상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독점적 위치에 있는) 공급업체(미측)에 유리한 협상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하고, 비용이 막대하다고 함.

    ** 더 현대적이며 저렴한 방안도 모색 중이며, 소형모둘형원자로가 매력적인 방안이 될 수도 있다고 함.


나. 인프라


1) CPK 사장 인터뷰


  ㅇ 체르니츠키(F. Czernicki) 신공항(CPK) 사장은 Dziennik紙와의 인터뷰에서 △WTO 정부조달협정 미체결국의 공공입찰 제한*, △신공항 건설 사업**, △고속철 건설 사업*** 등에 대해 언급함.


     * 아직 CPK는 특정 국가 업체의 사업 참여를 제한하고 있지 않음. 현재 법적 상황을 검토 중임. 아시아 기업들이 입찰에서 제외될 시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음.

    ** 개항 초기 신공항의 연 승객 수용 수는 약 3,100만 명임. 이후 항공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4,400만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확장 공사를 진행할 것이며, 확장 공사는 승객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진행될 수 있음.

   *** Y 노선 건설이 우선 사항이며, 그 외 중앙철도노선의 북부 확장, 카토비체-오스트라바 노선 사업 등이 있음.


2) Orlen, Baltic Power 1 사업 개시


  ㅇ 2.6일 Orlen은 캐나다 Northland Power와 협력하여 Baltic Power 1(해상 풍력 발전소)* 건설 사업을 시작한다고 발표함.


     * 2026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며, 발전 용량은 1.2 GW(150만 가구에 전력 공급 가능)


3) EBRD, Baltica 2 사업에 2억 유로 대출 제공


  ㅇ 1.31일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Baltica 2 해상풍력발전소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2억 유로 규모의 대출을 제공할 것이라 발표함.


   - EBRD는 폴란드가 2030년까지 전력 생산의 50%를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하며, 풍력 발전이 석탄 의존도를 감소시키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고 설명


     * (개요)

       - 참여사 : 폴란드 PGE社, 덴마크 Orsted社

       - 위치 : 우스트카(Ustka) 및 호체보(Choczewo) 지역 사이, 폴란드 해안에서 약 40 km 떨어진 지역

       - 면적 : 190 km2

       - 발전 용량 : 1.5 GW(14 MW 풍력 터빈 107개 설치 예정)

       - 건설비 : 300억 PLN(그 중 PGE가 150억 PLN, KPO 기금 60억 PLN)


4) EU 집행위, 폴란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지원금 지급


  ㅇ 2.6일 EU 집행위는 폴란드의 e-모빌리티 프로젝트 5건*에 5,900만 유로를 지원할 것이라 발표함.


     * 주요 프로젝트

       -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2,880만 유로)

       - 전기 물류 차량을 위한 충전 인프라 구축(1,770만 유로)

       - 유럽 내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확장 및 개선(550만 유로)

       - 공공장소 충전소 구축(290만 유로)

       - Via Baltica 전기차 충전 인프라 건설(400만 유로)


다. 통상 정책


1) 미국의 관세 부과 위협에 대한 투스크 총리 발언


  ㅇ 2.4일 투스크(D. Tusk) 총리는 EU가 모든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미국의 對 EU 관세를 부과할 경우 EU*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 함.


     * EU의 관세 정책은 유럽집행위가 담당


2) EU, 중국 전자상거래 대기업 대응 예정


  ㅇ 2.6일 EU 집행위는 전자상거래에서의 불공정 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소형 택배에 대한 관세 부과 및 제품 검사를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2025.6월 EU 경제?재정이사회 회의에서 공통 입장을 도출할 계획임.


     * Temu, Shein 등 중국 전자 상거래 대기업을 통해 유입되는 상품을 대상으로 함. 현재 150 유로 미만의 상품에 대해 관세 면제 혜택을 제공 중이나, 2024년 EU 시장에 유입된 150 유로 미만의 저가 택배는 약 46억 개(하루 평균 1,200만 개)

    ** EU 집행위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EU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되는 제품에 대한 처리 수수료 부과, 세관 및 시장 감독 기관 간의 협력 강화를 통해 안정성 검토 등을 제안


라. 거시 경제


1) 경제 성장 및 혁신 투자를 위한 전략 발표 예정


  ㅇ 투스크(D. Tusk) 총리는 폴란드를 경제 성장과 혁신 투자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전략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동 전략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전망됨.


  ㅇ (저렴한 에너지) △대형 및 소형 원자로 건설, △해상 풍력 발전소 건설, △기존의 육상 풍력 발전소의 현대화 등을 추진함.


  ㅇ (기후 정책 조정) 폴란드는 EU ETS 2* 도입 연기를 희망하나, EU 내 지지가 부족함.


     * 건물(가정, 상업용), 도로 운송 연료, EU ETS 1이 적용되지 않는 일부 산업 부문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로, 2027년부터 시행 예정


  ㅇ (물류 및 교통 허브화) 우크라이나 재건, 북유럽 국가와의 교역 확대를 위해 △고속철 개발(유럽 주요 수도 연결), △2028-29년 북부 항만 인프라 확장 공사를 계획 중임.


  ㅇ (규제 완화 및 기업 환경 개선) △소규모 기업 지원(전자 리스 시스템, 소기업 대상 세무조사 간소화 등), △세법 개혁(세금 신고 의무 축소 추진), △ESG 관련 보고 의무 완화 추진 등을 도입할 계획임.


  ㅇ (투자 활성화) 은행 예금에 집중된 폴란드인들의 자산을 투자(ETF, REIT 등)로 유도하여 장기적인 성장 기반 마련할 것임.


2) OECD 경제보고서(폴란드)* 발표


     * 2년마다 국가 경제 검토 후 이에 대한 분석 및 정책 권고가 포함된 보고서가 발표됨.


  ㅇ (경제성장률) 2025년 3.4%, 2026년 3% 성장


  ㅇ (소비자 물가지수) 2025년 5%, 2026년 3.9%


  ㅇ (권고사항) 생산성 향상*, 보건 분야 투자 확대**, 환경 정책 강화*** 등이 필요함.


     * 비즈니스 환경 개선, 국영 기업 운영 개혁, 노동력 역량 강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 해야 함.

    ** 의료 지출 증가를 통해 환자의 부담을 완화시키고,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 돌봄 시스템을 강화해야 함.

   *** 에너지, 교통, 주거 부문에서의 탈탄소화 정책을 추진해야 함. 에너지 부문의 탄소 배출을 감축시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함.


3) 기준금리 동결


  ㅇ 2.6일 통화정책위원회(RPP)는 기준금리를 5.75%로 동결하였으며, 금번 동결은 2023.10월 이후 14번째 연속 동결임.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